티스토리 뷰
- 강희안 이상좌
최열 2015 Art 선발한 75점의 목록을 발표했 다.58 공민왕, 안견, 강희안, 이상좌, 김시, 신사임당부터 남계우, 김수철, 백은배, 유숙, 장승업에 이르는 명품들 500점 가운데 품 조선 한국 근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800
②명절파浙派─ 강희안 ③남송마하파馬夏派─ 이상좌 ④명원체화院體畵─ ⑤북송미법산수화米法山水畵─ 이장손, 서문보, 최숙창 한국회화사 / 1 조선 시대 초기1392
1 조선시대 전기의 회화; 2 도화서; 3 안견; 4 안견필 몽유도원도; 5 최경; 6 이상좌; 7 이상좌필 송하보월도; 8 강희안; 9 강희안필 한일관수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
한국회화사에서의 언급을 살펴 보자. “안견과 강희안이 화풍에 이어 주목되는 것은 이상좌李上佐의 화풍이다. 이상좌는 산수와 인물에 모두 뛰어났는데, 그에게서 이상좌의 화원가계4대고정
- 강희안 성삼문
강희안姜希顔, 1419년 1464년은 조선의 명신이며 서예가, 화가, 시인이다. 자는 경우, 호는 그는 집현전에서 신숙주, 성삼문, 정인지 등과 함께 훈민정음에 대한 해석을 붙이는 일에 직접 참여하였으며 용비어천가에 대한 주석을 붙이는 일에도 강희안
그 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 선위禪位를 강요할 때, 성삼문이 국새國 그러면서도 그 사건에 연루되어 문초를 받고 있던 강희안姜希顔을 변호해주어 성삼문成三問
것이다. 세조의 즉위후 사육신의 한명이었던 강희안의 절친 성삼문성삼문은 강희안을 지키기위해 끝까지 강희안이 단종 복위와 관련없음을 주장했다 함의 죽음으로 조선화가 강희안의 산수인물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 강희안 강희맹
형이 인순부윤仁順府尹이자 화가 강희안姜希顔이며, 이모부가 세종이다. 일본의 오구라문화재단小倉文化財團에 소장되어 있는 독조도獨釣圖는 강희맹의 강희맹姜希孟
이에 강희안은 전前 주부主簿 김중행金仲行의 딸과 혼인했는데 아들 없이 딸만 넷을 낳았으므로, 후에 동생 강희맹의 둘째 아들 강학손姜鶴孫을 후사로 삼아 대 강희안 1417 우리역사넷
강희맹은 세종부터 성종대까지 6대에 걸쳐 관직생활을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이듬 해 1441년세종 23에 강희맹은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의 친형인 강희안은 이 해 강희맹 1424 우리역사넷
진주강씨 강회백, 강석덕, 강희안, 강희맹 단속사지 정당매政堂梅 남효온의 智異山日課에 지리산단속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었다. 절 안 모퉁이에 최문창崔文昌 진주강씨와 정당매 강회백, 강석덕, 강희안, 강희맹
- 강희안 고사관수도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지본수묵 15.7×23.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전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배경으로 바위 위에 양팔을 모아 턱을 강희안
고사관수도 / 강희안 조선 초기의 화가 강희안姜希顔이 그린 산수인물화. 이 고사관수도의 화풍은 조선시대 중기에 이르러 함윤덕咸允德의 기려도 騎驢圖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종이에 수묵. 23.4㎝×15.7㎝. 15세기 중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사高士의 초탈한 자태는 강희안의 인간됨됨이를 느낄 수 있으며, 무상 강희안姜希顔의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조선화가 강희안의 산수인물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조선 초기 대표적인 문인 화가 강희안이 그린 산수인물화. 고결한 선비가 물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15세기 조선화가 강희안의 산수인물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