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일성록 번역




일성록 정조. 153185. 저자 한국고전번역원 편 ;김성재,박한라,김명곤,이학균,하지영,신하령,이강욱,김내일,추소령,권헌준,진현,최유진,백선혜,박회신,임영걸, 일성록


일성록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와 함께 조선 왕조 3대 연대기로 꼽힌다. 총 185책으로 번역된 정조시대 일성록 번역본 중 55책까지의 모습. 일성록


서울=뉴시스신동립 기자 = 한국고전번역원원장 이명학이 일성록日省錄을 185책으로 펴냈다. 지난해 번역을 마친 정조 재위기간의 기록이다. 한글판 일성록 185책 나왔다, 앞으로도 20년 더 번역





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는 『일성록』의 번역 사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현재의 번역 진도라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일성록』, 정조의 일기에서




- 일성록 정조




일성록 정조. 153185. 저자 한국고전번역원 편 ;김성재,박한라,김명곤,이학균,하지영,신하령,이강욱,김내일,추소령,권헌준,진현,최유진,백선혜,박회신,임영걸, 일성록


정조는 어린 시절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증자曾子의 말인 一日三省일일삼성 혹은 三省吾身삼성오신, 즉 나는 매일 세번 스스로를 반성한다吾 일성록


왕의 일기인 『일성록』日省錄·국보 153호 정조 4년1780년 1월 7일자의 기록이다. 정조는 왕위에 오르자 평민들이 국왕에게 직접 억울함을 호소 정조 “길에 눈 한 점 없으니 얼마나 백성 괴롭혀 치웠을꼬”





이렇게 말합니다. 정조의 다른 문집인 홍재전서 일득록의 구절입니다. 일성록이 정조의 하루하루의 행적을 담은 책이면 홍재전서 일득록은 경연에서 대신들과의 만천명월주인옹께서 가라사대 정조의 국정일기 일성록




- 일성록 유네스코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일성록日省錄 로 성격이 변화하면서 존현각일기는 일성록이 되어 조선의 공식 국가 기록으로 편입되었다. 일성록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과 조선후기 국왕의 동정이나 국정 운영사항을 일기 형식으로 정리한 일성록日省錄이 유네스코 세계기록 5.18 기록물과 조선시대 일성록, 유네스코 유산 등재 조선닷컴


런던.서울=이성한 특파원 김태식 기자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과 조선후기 국왕의 동정이나 국정 운영사항을 일기 형식으로 정리한 5.18기록물일성록 유네스코 유산 등재





이르기까지 151년간에 걸쳐서 날마다 임금의 언행과 동정을 기록한 문화재 일성록이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에서 2011년 5월 24일에 등재 권고를 결정함으로써 사실 유네스코 등재 결정된 조선 임금의 일기, 일성록




- 일성록 순조




일성록』은 1760년영조 36 1월부터 1910년융희 4 8월까지 151년간의 국정 . 1827년순조 27에 규장각 검서관奎章閣檢書官 유본예柳本藝가 편찬한 『일성록 일성록日省錄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고종 21년1884





者, 雖非此字, 必有他穩合之文字矣.” 予曰 “其言好矣. 從當改下矣.” 『일성록』 순조 3년 10월 27일 이경신李敬臣은 북관北關 사람인데, 순조 초기에 사헌부 성군聖君과 혼군昏君의 사이 ,일성록


하였다. 대한민국 국보 153호이기도 한 일성록은 조선후기에 국왕의 동정과 국정의공식기록으로 편입됐다. 1827년순조 27에 규장각검서관奎章閣檢書官 유본예 11 일성록日省錄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